Manual Soldering_수동 납땜 관련 정보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 어떻게 제대로 사용하고 관리할까?_고급찐 땜쟁이_Challenge!! Soldering

고급찐 땜쟁이_Challenge!! Soldering 2025. 4. 23. 15:06
반응형

Index_목차 
0. 글 소개
1.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의 정의
2.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 의 선정
3.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의 작업 예시
4.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 의 올바른 사용법

 

0. 글 소개
 

안녕하세요 고급찐 땜쟁이입니다. 이번 글의 주제는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 어떻게 제대로 사용하고 관리할까?입니다. 전장품을 제작하는 땜쟁이들이라면, 커터(Cutter)와 플라이어(Pliers)는 자주 사용하는 기본 공구입니다. 하지만 단순한 공구라고 해서 소홀히 다뤘다가는 납땜 불량, 와이어 손상, 심지어 제품 불량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ESA  #IPC에서 정의하는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1.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 의 정의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 에 대하여 ESA 규격서에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ECSS-Q-ST-70-61C 5.5.3 Cutters and pliers

a. 절삭날 프로파일 및 커터 사용은 그림 5-1을 따라야 합니다.
b. 도선 및 부품 리드를 다듬는 데 사용하는 커터는 날카롭게 전단하여 절삭날 전체에 걸쳐 깨끗하고 평평하며 매끄러운 절삭면을 만들어야 합니다.
참고 1 이러한 조치는 섬세한 부품에 기계적 및 충격 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합니다.
참고 2 매끄럽고 긴 코의 플라이어 또는 핀셋을 사용하여 도선 및 부품 리드를 부착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c. 절단 작업 중 비틀림이 발생해서는 안 됩니다.
d. 절삭날은 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날카로운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ECSS-Q-ST-70-61 Figure 5-1: Profile of correct cutters for trimming leads

 

위 내용을 요약해 보자면 위 ECSS-Q-ST-70-61c Figure 5-1 와 같이 매끄러운 단면으로 부품 리드가 컷팅되어야 우주 환경등에서 전자파를 흡수하지 않고 반사해서 부품을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니 커터를 제대로 사용해야 한다라고 이해하시기 바라며, 플라이어 같은 경우 부품의 고정 및 제거 시에만 사용한다고 간략하게만 정의 되어 있어 커터를 중심으로 설명하겠습니다.

 

2.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 의 선정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매끄럽게 컷팅되는 커터를 선정해야 합니다. 본인은 관련 업무를 하면서 여러 가지 커터를 사용해 왔는데 그중 몇 가지 커터를 사용하여 단면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커터의 종류는 총 4가지로 테스트해봤습니다. 

Tsunoda TM-10 Weller 530E13 Weller 582E Weller 2432E
Tsunoda TM-10
Weller 530E13
Weller 582E
Weller 2432E

 

3.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 의 작업 예시

사용한 wire는 AWG 22 stranded wire (Conductor wire 직경 약 0.73mm, 인장 강도 34 MPa)와 주석도금 Solid Wire( Conductor wire 직경 약 0.8mm 인장 강도 274 MPa)를 사용하여 컷팅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각각의 그림 좌측부터 AWG 22 Stranded wire_피복 제거, AWG 22 stranded wire_피복 제거 후 Tinning, Solid Wire 순입니다.

좌_(Tsunoda TM-10) 우(Weller 530E13)
좌_(Weller 582E ) 우(Weller 2432E )

테스트 결과를 보면 ECSS-Q-ST-70-61c에서 Preferred 형상과 동일하게 완벽히 만족되는 형상은 없었으며, Acceptable 형상을 만족하는 형상은 2가지 Cutter와 Not Acceptable 형상 2가지로 확인되었습니다.

위 결과로만 보자면 Cutter 제조사에서는 Super Flush , Flush 등으로 표현하여 매끄러운 단면으로 Cutting이 된다고 되어 있지만 실상은 완벽하게 Cutting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분명 Cutter 관리 상태나 사용빈도에 따라 달라 질수도 있지만 최대한 관리하여 사용한 Cutter로 TEST를 진행 하였기 때문에 새것으로 했어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ESA 와 IPC 규격서에 나오는 적합한 단면의 형태로 작업 되기에는 참 어렵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래도 최대한 규격에 어긋나지 않는 형태의 결과물을 얻어 내도록 해야 될 것입니다.

 

4. "Cutter_커터"와 "Pliers_플라이어" 의 올바른 사용법

 

용도에 맞는 커터 선택

  • 일반 전선, 테프론 피복선, 다심 케이블 등 자재별로 적합한 블레이드 형태와 재질을 선택해야 합니다
  • ESA 기준에서는 도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고정밀 커터 사용을 권장합니다.

한 번에 깨끗하게 자르기

  • 절단 시 과도한 압력이나 좌우로 비틀지 않도록 합니다.
  • 불완전 절단은 와이어 스트랜드 손상과 납땜 불량의 원인이 됩니다.

날 상태 수시 점검

  • 날이 무뎌지면 재단면이 거칠어지며, 절단 시 힘도 더 많이 들어가게 됩니다.
  • 깨끗한 컷팅 단면은 IPC-A-610 기준에서도 중요한 평가 요소입니다.

 

크림핑 전용 플라이어 사용

  • 일반 플라이어로 크림핑 작업을 하면 단자 손상 및 접촉 불량 가능성이 큽니다.
  • ESA와 IPC-A-620은 지정된 공구로 정확한 압착을 요구합니다.

손잡이 끝까지 잡고 조작

  • 정밀 제어가 필요한 경우, 손잡이 전체를 감싸 잡고 균형 있게 힘을 가합니다.

비틀거나 꺾지 않기

  • 플라이어로 와이어를 꺾거나 비트는 행위는 절연 피복 파손과 도체 단선의 원인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정리를 하자면 커터와 플라이어는 단순해 보이지만, 전자기기 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공구입니다. ESA와 IPC 규격에 따른 사용과 관리를 꾸준히 실천한다면, 작업 신뢰도와 품질은 자연이 올라가게 될 것 입니다.

 

반응형